심리학

아동기의 사회, 정서발달

바니설이 2024. 12. 29. 00:15

(2) 애착
애착(attachment)이란 한 개인이 자기 삶에서 다른 특정한 사람에게 갖는 강 한 정서적 유대를 말한다. 사람이 어떻게 애착 행동을 발달시켜 가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할로(Harlow, 1905~ 1981)는 원숭이의 애착 발달에 관한 실험을 하였다.
그의 초기 연구는 원숭이들 간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었는데, 그는 출생 초 어미와 고립하여 키운 원숭이들이 아무리 잘 먹여도 생존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반면, 어미와 출생 초 고립시켰으나 헝겊을 입힌 모형 원숭이가 있는 우리 안에서 자란 새끼 원숭이들은 생존하였다. 이러한 사실에서 할로는 헝겊을 입힌 모형 원숭이가 안전 기반을 제공하였다고 보았다. 이러한 결론은 그로 하여금 새끼 원숭이에게 사랑과 따뜻함에 대한 욕구가 타고나는 것인지 알아보게 하였다.
즉, 그는 철삿줄로 모형 어미 원숭이를 만들어 하나에는 헝겊을 입혔고, 다른 하나는 그대로 사용하여 어떤 때는 헝겊 원숭이한테서, 또 다른 때는 철사 원숭이한테서 젖을 먹을 수 있게 하였다. 새끼 원숭이들은 젖을 먹을 수 있든 없든 헝겊 원숭이한테 매달려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여기에서 할로는 철사 원숭이는 젖을 먹일 수 있다 하더라도 새끼 원숭이에게 위안을 줄 수 없었다고 결론을 내렸다(Harlow and Zimmerman.
또 다른 연구에서 할로는 헝겊 모형이든 철사 모형이든 모형 원숭이와 같이 자란 새끼 원숭이들은 정상적으로 자라지 않음을 알았다. 이 원숭이들은 정상적으로 자란 원숭이보다 더 공격적이고 두려움이 많았다. 또한 정상적으로 교미를 하지 못하였으며, 철사 원숭이와 자란 원숭이 중 일부는 자기 파괴적 행동도 보였다.
(Harlow, 1962).
인간의 애착, 즉 영아와 엄마의 애착에 관해 최초로 연구한 사람은 볼 비 Bow lb, 1907~1990). 그는 주 보호자와 영아의 정서적 유대 형성은 생존을 높여 주기 때문에 진화되어 온 것이라고 보았다. 볼지는 부모와 영아의 초기 상호작용은 

정상적 발달에 결정적이라고 주장한다.
생후 7~8개월경부터 엄마에 대한 영아의 애착은 매우 강해져 엄마가 자신을 떠나는 경우나 낯선 이에 대해서 두려움을 보인다. 이를 격리 불안(seperation anxiety)이라 한다. 엄마에 대한 영아의 애착을 평가하기 위하여 에인 스위스 (Ainsworth, 1979)는 낯선 상황(strange situation)을 개발하여 생후 12~24개월째 리 영아의 애착을 평가하였다. 낯선 상황에서 영아의 행동반응을 측정하는 것은 매우 인위적이라는 비평이 없지 않으나, 여러 연구 결과를 보면 대부분의 영아(약 60%)는 엄마와 안정 애(secure attachment)를 보였다. 이들은 엄마가 낯선 상황에서 안 보이게 되면 매우 불안해하나 엄마가 다시 보이면 쉽게 안정감을 되찾았다. 약 20%에 달하는 회피 애착(avoid ant attachment) 영아는 엄마와 격리되었을 때 불안을 나타내지 않으며, 재결합이 되어도 쉽게 위안을 얻지 못했다. 약 10%의 저항 애착 영아는 엄마와 있을 때도 매달리며, 엄마와 격리되면 하기를 내나 엄마가 돌아오면 반기는 경과 제일이 복합적 감정은 내 타냈다. 나머지 5%의 영어(혼돈에 작 : dis0rTeTIAN CrecTem)는 혼란스러워하지나 화를 내거나 슬퍼하는 이율배반적 행동을 보였다.
연구자들에 의하면 안정된 아직은 형성한 영아의 이마는 애정적이며, 아기의 욕구에 민감하게 반응할 뿐 아니라
 이러한 영아 만만을 순조롭게 하고 이로 생장하며, 영아와 엄마의 안정된 관계는 정서:인지발달을 순조롭게 하고 사회성 발달을 돕는다.

(3) 부모의 영향
출생 후 몇 년은 부모가 아동 세계의 중심이 된다. 이는 부모의 양육이 매우 중요함을 의미한다. 부모의 양육에 대한 한 고전적 연구(Whice and Watts, 1973)를 보면 자녀에게 끼친 어머니의 영향을 잘 알 수 있다. 연구자들은 3세경이면 자신감이 있는 아동과 자신감이 낮은 아동의 구분이 이미 결정됨을 알 수 있었다. 3 세 이하 아동의 집을 방문하여 관찰한 결과, 어머니의 양육 형태는 자녀에게 교육적 경험을 제공하며 자녀가 스스로 알아서 활동하게 하는 유형과, 자녀를 신체적으로 잘 돌보아 주나 엄격하며 상호작용이 적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전자의 부모는 자신감이 있는 자녀를 만들지만, 후자의 부모는 자신감이 없는 자녀를 만들었다.
최적의 자녀 양육 방법은 무엇일까? 첫째, 친활동적 부모 개입(proactive maternal involvement)을 들 수 있다. 친활동적 부모 개입이란 자녀와 우호적 • 교육적인 상 호적용을 의미한다. 이러한 부모의 태도는 자녀와 자주 대화를 나누며 자녀가 주위 환경을 탐색하도록 돕는다. 이러한 태도는 자녀의 지적 성장을 도우며 문제행동의 발생을 최소화한다.
둘째, 최적의 자녀 양육 방법을 위해 생각할 수 있는 것은 부모와 자녀의 기질적 합성이다. 자녀의 기질이 그런 데 부모의 기질은 그러지 못하다면 부모의 경우보다 아동이 더 문제를 갖게 될 것이다.
셋째, 자녀의 감정, 욕구, 리듬 그리고 신호에 대한 부모의 반응(parental resposTenes)이다. 부모와 자녀가 주고받는 상호작용은 자녀의 사회성 기술을 증진한다.
부모의 자녀 양육유형을 바 유린 등(Baum ind 독재적 부모, 허용적 부모 및 권위적 부모의 세 형태로 나눈다. 독재적 부모(autortaran Darernts)는 엄격한 규율과 권위에 대한 복종을 요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