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슨은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지만, 오늘날 많은 심리학자뿐만 아니라 부모들도 이에 전적으로 동의하지는 않는다. 플로 민에 의하면 부모들은 아이가 하나일 때는 환경론자가 된다. 그러나 둘째 아이가 태어나면 자신이 첫째와 특별히 다르게 키운 것도 아닌데, 둘째 아이가 첫째 아이와는 여러 면에서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인간 발달은 유전과 환경에 의해 어느 정도 결정되는 것일까?
인간 발달에 유전이 주로 작용하는 과정을 성숙이라 한다. 성숙(maturation)은 유전적 요인에 의해 자동적 계일정을 한다. 이러한 계열적 예를 들어 영어는 않고, 기어다니고 선 다음 걸음마를 한다. 따라 계열적 변화는 유전에 의해 결정되는 시간표에 따라 자동으로 나타난다, 파라서 이러한 기술은 우리가 아무리 가르치려고 노력하더라도 아기가 이미 가 되어 있지 않으면 할 수 없다.
준비 이외에도 발달에서 중요한 것은 인간이나 동물이 특정 행동이나 기술을 때우는 데 적합한 때를 나타내는 결정적 시기 (ort cal Derod)이다. 예를 들어 언어 발달에는 결정적 시기가 있다. 따라서 어린 아동은 나이 든 아동이나 성인보다 국어를 쉽게 배운다. 이처럼 발달에서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왓슨과는 달 리 유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람은 게 젤리(GSEE)다. 그는 신체 발달, 사회성 발달에서도 유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발달에서의 유전과 환경의 논쟁에 대하여 답을 추구하고자 하는 심리학의 새로운 분야가 바로 행동 유전학이다. 행동 유전학(behavior genetics)은 심리학과 생물리학을 합친 분야이다. 행동 유전학자들은 진화 과정을 주장하며, 유전에 의해 결정되는 특정 행동에서의 개인차가 어느 정도인가 알아보고자 한다.
어떤 사람은 음악적 재능이 뛰어났지만, 어떤 사람은 음치이다. 여러분의 친구 중 어떤 친구는 매우 사교적이지만, 어떤 친구는 매우 수줍음을 타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왜 나타나는 것일까? 이러한 개인차에 어느 정도 환 경적 요인이 결정적 역할을 했을 것임은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환경요인 이외의 다른 요인에 의해 그러한 차이가 나타날 수도 있다.
행동 유전학자들은 지능, 성격 그리고 몇몇 이상행동 형태에 유전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유전의 중요성을 지적하는 자료가 동시에 비유전적 요인의 중요성에 대한 증거가 되고 있음도 지적한다. 행동 유전학의 뚜렷한 발견 중 하나는 같은 가정에서도 아동마다 환경적 요인을 다르게 경험할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유전인자가 똑같은 일란성 쌍생아의 경우를 보자. 이들의 성격이 똑같지 않음은 환경의 영향을 나타내 준다. 즉, 인간의 발 말에 유진과 환경은 똑같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리가 인간의 사고, 행동, 등 정서발달을 이해하고자 한다면 유전의 영향에서 환경의 영향을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발달심리학자들은 독특한 연구 방법을 사용한다.
발달 이론
(1) 정신분석 이론
발달 이론 중 가장 최초의 것 중 하나가 프로이트(Pred)의 정신분석 이론(psycho-analytic theotr)이다. 성격(제9장)에서 검토하겠지만 프로이트는 유아기, 특히 5 세 이전의 경험이 성격 발달에 중요함을 강조한다. 흥미롭게도 프로이트 자신은 아동을 연구한 적이 없다. 그의 이론은 심리적 문제가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발달한 것이다. 에릭슨(BRI Brikson) 역시 성격에서 살펴보겠지만 프로이트와는 달리 인간의 전 생애에 걸친 성격 발달에 관심을 가지며 사회적 • 문화적 영향을 강조한다.
(2) 행동주의
정신분석 이론과 대조되는 이론으로 1920~ 1940년대의 발달심리학에 영향을 준 이론이 행동주의(behaviorism)이다. 왓슨은 인간 행동을 유발하는 외적 자극과 그에 대응하는 반응에 관심을 가졌지만, 스키너(Skinner)는 행동의 선행요소와 강화에 관심을 갖는다. 이 행동주의자들은 아동의 발달이 아동 자신의 독특한 경험에 의해 일어난다고 본다. 최근에는 행동주의자들이 행동에 인지적 요소를 결합하고자 한다.
(3) 인지 이론
인지발달은 많은 연구자들이 관심을 가지는 영역이다. 이 분야의 리더격인 사람이 피아제(ENA Piaget)이다. 프로이트와 같이 피아제는 생물학적 요인을 강조하며 발달이 생물학적으로 정해진 계열에 따라 이루어진다고 본다. 그러나 또한 피아제는 발달이 세상에 적응해 나가는 과정임을 강조한다.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은 인간의 인지발달을 설명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이론으로, 인간을 이 세상을 살아가는 데 적극적 문제해결자라고 본다.
정보처리 이론(intormation-processing Derspective)은 인간의 주의, 기억, 문제 해결과 정에 관심을 갖는 이론으로, 왜 어린 아동이 나이 든 아동과는 다르게 사고 하는가를 잘 설명해 주고 있다. 정보처리 이론에서는 두뇌 조직이 어떻게 인간에게 사고• 행동하게 하는가를 설명하고자 한다.
(4) 생태체계이론
발달 이론에서 가장 늦게 대두된 이론이 생태체계이론(ecological systers theory) 이다. 대표자로는 브론펜브레너(Bronfenbrenner)를 들 수 있다. 그는 아동은 부모, 형제, 학교, 이웃 등과 같이 아동에게 직접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복잡한 인간관계의 체계 속에서 발달한다고 주장한다. 이 이론에서는 한 개인과 사회의 문화적 사회적 관계 역할을 강조한다. 생태체계이론에 의하면 행동과 발달은 문화 간 비교연구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는 사람들이 사회적으로 동공 상태에서 살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비고츠키(Vygotsky)는 아동과 사회구성원들의 대화가 아동 발달의 원동력이 됨을 강조한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정에서 아동기 까지 (0) | 2024.12.29 |
---|---|
발달 심리학의 기본적 과제 2 (2) | 2024.12.27 |
인간의 이해 방법 -조사, 윤리적 문제 (2) | 2024.12.27 |
인간 이해의 영역 제 6장 (0) | 2024.12.27 |
인간 이해의 영역 제 5장 (1) | 2024.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