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방법: 종단적 연구와 횡단적 연구
인간의 발달 과정을 연구하고자 하는 심리학자들은 몇 가지 독특한 도전을 받게 된다. 우선 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서처럼 참여자들을 우리에 고립 시길 고립시킬 수 없다. 또 다른 하나는 윤리적 문제이다. 예컨대 1921년 왓슨과 레나 (Rayner) 가 앨버트(Aber)를 대상으로 한 실험이다. 최고 털이 난 동물에 대한 두려움을 유발한 조건화 실험은 너무나도 잘 알려졌다. 그러나 그러한 실험은 오늘날에는 허용되지 않는다. 만약 여러분의 자녀를 대상으로 텔레비전의 폭력물을 보게 하여 공격성 유발 여부를 알아보고자 한다면 허락할 것인가? 이러한 문제점들이 인간의 발달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는 심리학자들이 직면하는 문제점이다. 따
라에서 발달심리학에서는 그 나름의 독특한 연구 방법을 사용한다.
발달심리학의 대표적 연구 방법은 종단적 연구(longitudinal studies)와 횡단적 연구(cross-sectional studies)이다. 인간의 발달에 대한 연구는 심리학의 다른 분야와는 달리 오랜 시간이 걸린다. 때로는 몇 달, 몇 년이 걸리기도 한다. 이렇게 장기 간 같은 연구 대상을 반복적으로 관찰하거나 검사하는 방법이 종단적 연구이다.
횡단적 연구는 서로 다른 연령의 연구 대상을 동시에 관찰하거나 검사하는 것이다. 즉, 종단적 연구에서는 같은 대상을 장기간 반복하여 연구하는 것이고, 횡단적 연구는 동시에 서로 다른 대상을 조사•연구하는 것이다.
만약 수줍음을 잘 타는 3세의 아동이 6세, 9세에도 수줍음을 탈 것인지를 알고 싶다면 어떠한 연구 방법을 사용해야 할까? 횡단적 연구는 정해진 한순간의 행동을 평가하는 것이므로 한 아동이 서로 다른 연령에서도 수줍음을 탈 것인지를 알고자 하는 경우에는 적합한 연구 방법이 아니다. 즉, 이러한 연구에는 종단적 연구 방법이 적합하다. 그러나 종단적 연구의 경우 연구자가 반복적으로 연구 대상을 관찰하거나 검사를 실시해야 하는데, 때로는 연구대상자들이 이사하거나 건강상의 이유 등으로 지속해서 연구에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단적 연구는 장기간이 필요하며 큰 비용이 드는 단점이 있다.
그렇다면 3세에 수줍음을 타는 아동이 더 많은가, 6세에 수줍음을 타는 아동이 더 많은가를 알고자 한다면 어떠한 방법을 사용해야 할까? 이 연구에서는 각각 다른 연령에서 수줍음을 타는 아동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므로 횡단적 연구 방법이 적합하다. 그러나 횡단적 연구는 연령별 발달 변화를 알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1) 태내 발달
인간의 긴 발달 여정은 정자와 난자의 수정에서 시작된다. 수정란은 수정된 지
10시간 안에 네 개의 세포로 분열되기 위해 시작하여 분열을 계속하면서 5~7일에 자 궁벽에 착상하게 된다. 이때까지의 수정란을 접합자(zygote)라고 한다. 착상부터
49일까지는 배아(embryo)라고 하며, 8주째부터 출생까지는 태아(fetus)라고 한다.
이렇게 하여 정자와 난자의 수정에서 출생까지의 성장이 이루어지는 데 266일, 약 9개월이 소요된다.
한 개인의 기본특성은 정자와 난자의 수정 시 이미 결정된다. 예를 들어 머리칼 과 눈의 색깔, 남녀의 성, 키, 기본 지적 능력, 성격특성 등이 여기에 속한다. 그러나 태내 환경은 태아의 발달에 큰 영향을 준다. 중세 유럽의 의사들은 임신부가 즐거운 생각을 하면 아기를 행복하고 좋은 사람으로 만든다고 말했다. 그러나 부러울 이나 부정의 관장은 인상을 방해하고 부폰 코스에서 한 제 실을 가린 아 나를 은하로 가른다. 물은 제이에 영향을 이신 후의 의사들이
시한 법의 고가로 초인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일 신부가 있다. 또한 상대, 전류 한 수한 불과 입선 사와 피와 모두에게 지정 적 입양을 가가 4 또한 대아의 정속. 따라서 완경에 매우 민감한 사기 마 위다. 오% 시기를 전정 꼭 사기(a rial과 한다. 생후 2년 동안은 영양의 매우 중요하다. 이 시기는 후보 방문에 민감한 시기로 선경 세포의 연길이 많은 변화 속에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물은 두뇌의 기본 구로는 출생 이전에 이미 명성 되지만, 신경세포의 연결은 바로 영아기에 대단히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잘못하면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타내 발달 기간 중 태아의 발달에 결합(선천성 기형: 6T로 deeds)을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진 것이 테라 논밭 (eatOYOn)이다. 선천성 기형은 출생 후
1년 사이 유아 사망의 첫 번째 원인이 된다. 임신부가 임신 초기나 흉기에 술을 마시는 경우 아기는 미숙아가 되거나 저체중아 그리고 정신지체아나 주의집중. 결함과 활동 장애아(atentiondefict hperactity disorder)가 되기 쉽다. 임신부의 음주는 신생아 지적장애의 첫째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해마다 미국에서는 1만 명의 신생아가 임신부의 음주로 인한 신체적 증후나 인지 결손을 가지고 태어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한 연구의 예를 보자. 임신 중의 음주와 태어난 아이가 4세 되었을 때의 상관관계를 보면, 임신부가 하루에 3온스(85cc) 이상의 술을 마셨을 경우, 그 자녀가 4세경에 지능 지체가 될 수 있다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고하고 있다(Streisguth, Barm Sanoslom Darby, and Martin, 1989).
또한 각종 약물이 태내 발달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아스피린의 과다복용은 태아 출혈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흡연 또한 태아에게 산소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한다. 흡연 임신부의 자녀는 정상아보다 작거나, 언청이가 될 가능성이 높고 또한 저지능 아가 될 확률이 높다. 환각제 역시 머리, 얼굴, 팔다리의 발달 이상을 가져오게 한다. 임신부가 자신의 임신 여부를 잘 알지 못하는 배아기에 약물을 복용하면 그 영향이 미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임신 초, 즉 배아기가 결정적 시기가 된다.
(2) 신생아
수정 후 약 9개월이 되면 태아는 성숙하여 세상에 태어난다. 갓 태어난 신생아는 좁은 질을 통과하느라 몸이 붉고, 머리 모양은 길쭉하며, 얼굴은 타박상을 입은 듯하다. 그러나 신생아는 이 세상에 적응하는 데 필요한 여러 종류의 반사를 가지고 태어난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기의 사회, 정서발달 (1) | 2024.12.29 |
---|---|
수정에서 아동기 까지 (0) | 2024.12.29 |
제 2 장 발달 발달 심리학의 기본적 과제 (1) | 2024.12.27 |
인간의 이해 방법 -조사, 윤리적 문제 (2) | 2024.12.27 |
인간 이해의 영역 제 6장 (0) | 2024.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