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심리학
이상심리학(abnormal sychology)은 매스머(Pranz Mesmer 1734 ~1815)의 연구에 근간을 두고 있다. 메스 머는 최면술을 이용하였는데, 그의 치료는 정신병이 의학적 수단이 아니라 심리적 방법에 의해 치료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당시에는 정신병 환자들은 대부분 수용기관에 갇혔다.
그러나 이상심리학이 커다란 발전을 하게 된 것은 프로이트에 의해서이다. 그는 완전히 심리학적 원리를 토대로 정신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체계적 방법을 고 안 한 최초의 사람이다. 그의 접근을 정신분석(Dsychoanalysis)이라고 한다. 프로의 트는 정인 신경증의 원인으로 아동기 경험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며, 환자가 고통을 받는 충격적 경험을 끌어내기 위하여 꿈의 분석을 사용한다. 아들러 (Adler), 불소(Prom) 그리고 안나 프로이트(Anna Freud)와 같은 신 프로이트 학 파들은 프로이트의 치료법을 보다 확장하였으나 신경증의 발달에 프로이트보다는 사회적 요인의 역할을 더 중요시한다.
이상심리학의 발달에 또 다른 중요한 치료법은 행동주의 원리에 근간을 두는 행동치료(beharior therapy)이다. 행동치료는 정신병의 발달에 조건화가 중요한 작용을 하며, 조건화는 환자의 행동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데 사용될 주 있다고 가정한다. 왓슨이 행동주의를 심리학에 소개한 것은 20세기 초나 행동치료가 치료 영역에서 영향을 발휘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초이다.
최근에는 인지치료(cognitive therapy)가 대두되고 있다. 엘리스(BLS)와 같은 학자는 불안이나 우울증 환자 대부분의 문제는 그들 자신의 비합리적 사고와 믿음 때문에 일어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불안증 환자들은 자신들이 모든 행동에서 지속해서 성공하지 않는 한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조롱할 것이라고 믿는다. 인지치료에서는 그러한 비합리적 믿음에 도전하고 보다 정확하며 덜 극단적인 믿음으로 대치하도록 한다.
긴 강 심리학
건강심리학(health psychology)은 1970년대에 중요한 심리학의 영역으로 부상 하기 시작하였고, 급속도로 발전하여 오늘날에는 심리학의 주요 영역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건강심리학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하여 건강에 대한 생물 의료적 모델(biomedical model)과 생물 심리·사회적 모델(bio psychosocial model)의 차이를 살펴보자. 생물 의료적 모델에 의하면 병이란 생물학적으로 기능이 제대로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치료에서는 약이나 수술과 같은 물리적 방법이 사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모델은 바로 1980년대 중반까지 우수한 접근이었다.
생물 심리·사회적 모델에서는, 병이란 생물학적 • 심리학적 그리고 사회적 과정이 상호 작용을 하여 나타나는 것이라고 본다. 이 접근에서는 심리적 방법이 병을 막고, 치료하는 데 중요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심리적 요인이 물리적 치료효치료 효과를 증대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의학적 치료의 성공은 병의 물리적 증 후를 감소시킴은 물론이고, 적응과 삶의 질과 같은 심리적 • 사회적 결과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건강 심리학자들이 강조하는 영역 중 하나는 질병과 스트레스의 관계이다. 바 인만(Weinman, 1994)이 지적한 바와 같이 스트레스가 직접• 간접으로 질병에 영향을 주워 왔음은 오랫동안 우리가 알고 있는 바이다. 스트레스는 위험한 행동(흡연 음주)를 증가시키는 간접적 영향을 주기도 하며, 생리적 변화(혈압상승)를 주어 건강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직업심리학
직업심리학(occupational psychology)은 20세기 초에는 산업심리학(industrial Dsychology)이라고도 했다. 일반적으로 직업심리학에서는 선발, 개인이나 집단의 생산성 증가, 의사결정, 스트레스나 갈등의 해결 등에 적용될 수 있는 심리학의 모든 분야에 관심을 갖는다. 따라서 직업심리학은 실리 학의제 분야와 밀집한 권을 갖는다. 예를 들어 개인 선발의 경우, 심리학의 1개인 차에 끈 한 접근에서 고 안전을 맞는 성격검사나 지능검사를 활용한다. 또 한정 저에 엔 적의 스트레스를 이해하고 이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생각하기 위하여 7정서도 동 맛에 연구나 바이 에 반한 연구를 활용한다. 이러한직업 심리하는 주로 가 % 이 동작에 관심을 갖는 반면, 조직심리학(otaiational psvchology)은 모든 작 열 장에 관심을 갖는다.
우리가 앞에서 살펴본 분야 이외에도 최근에는 인간을 이해하기 위하여 새로 운 심리학적 접근을 시도한다. 이 중 대표적인 것이 환경심리학(entonnenal psrchobey)으로 환경문제, 즉 소음, 공기 및 물의 오염, 유독물질 등의 심리학적 문제를 다룬다.
인간의 이해 방법
심리학은 과학적 방법을 통하여 인간을 이해하고자 하는 학문이다. 과학적 방법이란 확고한 증거, 정확한 기술, 측정, 정의, 통제된 관찰을 강조한다. 그만 아니라 절차가 같으면 나오는 결과도 같다. 그러나 과학적 방법이 한 번에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절대적이고 보편타당한 지식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과학은 연구 된 것에 대해서만 답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얻어진 사실의 적용 범위나 제한을 명료하게 제시해 주어야 한다.
과학적 방법은 관찰, 문제의 정의, 가설설정, 자료수집/가설검증, 결과의 산출 및 이론설정의 여섯 요소로 구성된다. 관찰은 모든 과학적 방법의 핵심으로 사실이나 사상을 주의 깊게 기록한다.
가설은 사건이나 관계에 대한 잠정적인 설명이다. 가설은 행동에 대하여 검증 할 수 있는 추측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절은 공격성을 증가시킨다"고 는 가설을 세울 수 있다. 그러면 그것을 어떻게 검증할 수 있는가. 우선 여러분 은 어떻게 사람들을 좌절시킬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그런 다음 그들이 더 공격적으로 되는가 아닌가를 측정해야 한다. 이에 대하여 관찰하면 여러분이 설정 한 가설이 맞는지 아닌지에 대한 증거를 갖게 된다.
좌절은 객관적으로 볼 수 있거나 만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조작적으로 정의를 해야 한다. 조작적 정의(operational definition)란 개념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는 절차이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 이해의 영역 제 6장 (0) | 2024.12.27 |
---|---|
인간 이해의 영역 제 5장 (1) | 2024.12.23 |
인간 이해의 영역 제 3장 (0) | 2024.12.23 |
인간 이해의 접근 방법 제 2장 (2) | 2024.12.20 |
심리학의 형태 심리학 (2) | 2024.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