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심리학의 형태 심리학

바니설이 2024. 12. 18. 23:54

 형태심리학

도로표지판을 보면 화살표 모양을 이룬 불빛이 움직이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 움직임은 착시에 불과하다. 실제로 불빛은 켜졌다 꺼졌다 할 뿐이다.
반짝이는 불빛에 대한 착시는 1912년 세 명의 과학자, 베르트하이머 호출로 그리고 코프카가 최초로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이들은 단순히 하나의 전구를 켰다가 조금 뒤에 다른 전구를 켰다.
이 두 전구는 고정되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불빛이 흐르는 것같이 보였다. 이러한 현상을 이들은 파이 현상이라 했으나 오늘날에는 외현적 움직임이라 한다. 베르트하이머와 그의 동료들은 이러한 현상은 움직임을 두 개의 고정된 불빛에 대한 단순한 감각의 결합으로 보는 구성주의로는 설명할 수 없다고 보았다. 반면에 이들은 움직이는 불빛에 지각하는 것은 전체 모양 또는 독일어로는 형태 분석에서 오는 것이라고 한다.
즉, 형태심리학(gestalt psychology)은 지각은 단순히 부분의 합이 아님을 강조하며 감각이 어떻게 의미 있는 지각 경험을 창출하는가를 연구한다. 형태심리학의 여러 원리는 오늘날에도 우리가 사물을 어떻게 지각하는가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인간 이해의 접근방법

생물학적 집은

생물학적 접근(biolgical approach)은 유전인자, 호르몬, 신경 체계가 어떻게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여 우리의 학습, 성격, 기억, 동기, 적응 기술 그리고 다른 능력에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심리학자들은 우리의 정신 과정 신경 체계로 구성되었다고 생각하며 그 핵심 요소가 두뇌라고 생각한다.
생물학적 접근을 하는 사람들을 정신 생물학자 Psychobiologist) 라고. 이들 은 두뇌 세포와 우리 정신활동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살아 있는 두뇌를 컴퓨터로 촬영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그림 1-4〉는 자폐아의 두뇌를 찍은 것이다. 정신 생물학자들은 자폐아 두뇌의 한 부분, 즉 소뇌(사진에서 청색)가 비정상적으로 발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자폐아의 소뇌는 약 75%
가 비정상적으로 작으나, 10%의 경우에서는 비정상적으로 크다.
 소뇌는 협응, 신체 움직임, 주의집중, 감정과 계획하기 등의 많은 행동에 관여한다. 따라서 소뇌가 비정상적인 아동은 감정, 학습, 움직임, 주의집중 등에 문제가 있으리라 예상할 수 있으며, 바로 이것이 자폐아가 보이는 문제들이다.
또한 이들은 두뇌의 특정한 화학적 요소가 정보저장 특히 기억과 관련됨을 밝히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호르몬과 유전인자의 영향에 대하여도 관심을 갖는다.
호르몬 역시 화학적 요소로 혈관에 분비되어 다양한 신체기능, 성장, 소화 등에 영향을 준다. 유전인자는 유치원의 기본단위로, 정신 생물학자들은 유전인자가 성격, 지능, 예술적 재능, 심리적 건강 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즉, 이들은 매우 현대적인 방법으로 인간의 정신, 두뇌 그리고 신체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이는 얼마 전 인간의 유전인자가 완전히 밝혀 짐으로써 앞으로 더욱 확실해지리라 생각한다.

인지적 집은

인지적 접근에서는 행동을 결정하는 데 사고의 역할을 강조한다. 인지심리학자들은 인간 본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정신 과정을 연구한다. 주, 이들은 인간이 정보 어떻게 처리 지장 : 사용하는가 이러한 정보가 우리의 믿음, 지각, 감정, 기억, 아유 등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를 연구하고자 한다.
인지적 접근은 소크라테스(So cate)의 "너 자신을 알라(Now thus en)"라는 격언과 같이 자신을 아는 방법인 내성법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인지심리학은 또한 구성주의, 기능주의 그리고 형태심리학에 뿌리를 둔다.
오늘날 많은 심리학 이론이 인지적 조망을 갖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피아제(ENA Paige)의 인지발달 이론이다. 그는 아동이 성숙해 감에 따라 아동의 정신에 계가 어떻게 보다 정교화되는가를 잘 보여 주고 있다.
또 다른 인지적 접근은 정보처리 이론이다. 많은 인지심리학자가 컴퓨터 과학의 영향을 받고 있다. 컴퓨터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보를 처리한다. 정보가 우선 컴퓨터 안에 입력되어야 하고, 그런 다음 문제를 풀어 나가거나 조작되는 동안 저장이 되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정보가 컴퓨터 본 체나 저장장치에 영구적으로 보관된다.
많은 심리학자가 인간이 이러한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의 저장고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만약 정보가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거나 인간의 장기기억에 들어가 있다면 이 정보가 다시 사용되기 위하여서는 반드시 회상되어야 한다. 컴퓨터 저장고에서 정보를 회상하기 위하여서는 자료목록의 이름과 회상규칙을 알아야만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인지심리학자들은 인간도 그들의 장기기억에서 정보를 끌어내기 위하여서는 어떤 단서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그렇지 않으면 그 정보를 잃어버리게 된다.
인지심리학자들은 이러한 우리의 문제해결 전략을 지적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라고 한다. 컴퓨터에 비유하면 우리의 두뇌는 지적 프로그램을 운 자신의 컴퓨터이다.
인지 심리학자들에 의하면 인간의 행동은 그의 가치관, 선택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은 일상적인 태화로 한 이야기를 다른 사람은 모욕으로 지각하여 다르게 반응한다.

행동주의적 접근

행동주의적 접근에서는 유기체가 어떻게 새로운 행동을 배우거나 수정하는가를 주위 환경 속의 사상이 행동을 강화하는가, 벌하는가에 따라 분석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