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주의
독일 국채의 아이디어는 그의 제자 중 한 사람인
키치너 Edward B. Titchener)에 의에 의해 원이라고 생각하여 분석하려고 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이들을 구성주의자, 이들의 접근을 구성주의라고 한다. 크롬(mcurlism)이라 우리의 의식적 경험을 이루는 모든 기본요소, 주로 감각 그리고 지각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즉, 구성주의에서는 개인 경험을 기본요소 또는 구조물로 분석하고자 한다.
여러분은 자기 경험을 화학적 요소로 분석할 수 있는가? 구성주의자들은 의식 경험을 이루기 위하여 필요 맞추듯 수백 개의 감각을 결합하고자 한다.
이들이 사용한 방법이 바로 내성법이다. 즉, 이들은 내성법을 사용하여 피험자에게 자신을 들여다보고,
자기 감각과 지각을 이야기하도록 하여 의식적 • 지적 과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예를 들면 메트로놈의 소리를 들려준 뒤 피험자에게 기쁜지, 슬픈지, 흥분되는지, 또는 이완되는지 등을 이야기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내성법이 피험자의 보고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객관성이 떨어지고 편파적이며, 비과학적이라는 비판이 일었다. 그뿐만 아니라 내성법이 많은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데 있어 적절하지 않은 경우가 많이 드러나게 되었다. 왜냐하면 구성주의자들 간에 종종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두 사람이 각각 다른 주장을 한다면 누구의 주장이 옳다고 할 수 있는가?
그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내성법은 측면. 문제해결, 기분 등 여러 다른 주제를 연구하는 데 하나의 역할을 하고 있다.
기능주의
미국의 제임스 Wiiam James)는 심리학의 영역을 동물행동, 종교적 경험, 이상 행동 등 흥미 있는 여러 주제로까지 확장한 사람이다. 그는 최초로 심리학에 관한 책을 쓴 사람으로, 그의 저서 『심리학의 원리』(Principles of Psochology)에는 오늘날 대부분의 심리학 교재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학습, 감각, 기억, 추론, 주의, 감정, 의식, 정서 등을 수록하고 있다.
정신적 활동을 기본구조로 본 독일 국채와는 달리, 제임스는 정신적 활동은 인간 생존을 돕는 적응 기능 때문에 연령에 따라 발달해 간다고 보았다. 제임스는 정신의 목적, 목표, 기능에 관해 관심을 가졌기 때문에 그의 이론을 기능주의라고 한다.
기능주의(functionalism)란 의식구조가 아니리 기능을 연구하는 것으로, 변화하는 환경에 인간의 마음, 정신이 어떻게 적응해 나가는가에 관심을 갖는다. 제임스는 의식이란 구성주의자들이 주장하는 바와 같이 생명이 없는 구조물이 아니라 늘 변화하는 이미지나 감각의 흐름이라고 하였다.
기능주의자들은 진화론을 주창한 다윈(Charles Darwin) 지지했다. 다윈의 자연도태설에 의하면 동물이 환경에 적응하도록 돕는 신체적 특징들은 진화된다.
이처럼 기능주의자들은 인간의 마음, 지각, 습관, 정서 그리고 심리적 과정이 어떻게 생존을 돕는가를 알고자 하였다.
기능주의가 현대심리학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기능주의는 동물에 대한 연구를 심리학에 적용하였으며, 심리학의 원리를 교육에 적용하는 데 기여하였다. 학습은 우리가 보다 잘 적응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기능주의자들은 교육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찾으려 하였다. 비슷한 이유로 기능주의는 산업심리학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행동주의
기능주의는 외적이며, 관찰할 수 있는 행동을 연구하고자 하는 행동주의의 도전을 받게 된다.
행동주의(behaviorism)란 관찰할 수 있는 행동의 객관적• 과학적 분석을 강조하는 이론이다.
행동주의의 창시자인 왓슨은 마을 또는 의식적인 연구를 역시 거부한다. 그는 내 생활을 비과학적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자신이 전문을 자지 않고도 동물을 연구할 수 있으며, 동물들이 무엇을 생각하는가도 알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왓슨은 단순히 자극 환경 속의 여러 사진과 동물의 반응 모든 근육의 움직임, 내분 비전의 활동 또는 알아볼 수 있는 일 동 간의 관계를 관찰하였다. 왓슨은 이와 같은 객관성을 왜 인간을 이해하는 데
적용할 수 없겠는가 하고 질문하였다.
왓슨은 러시아의 생리학자인 파블로프 조건화 개념을 인간 행동을 설명하는 데 적용하였으며, 열정적으로 아래와 같이 주장하였다.
"나에게 건강한 아기 12명을 주어 나의 특별한 방법으로 이들을 양육할 수 있어 도록 하라. 그러면 나는 이 중 어떠한 아기도 내가 원하는 어떠한 종류의 전문가-의사, 법률가, 예술가-심지어 도둑이나 거지까지도 되게 할 수 있도록 훈련할 수 있다."
여러분은 이와 같은 왓슨의 주장에 동의하는가?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이 그의 주장이 지나치다고 생각한다.
현대 행동주의자로 널리 알려진 사람은 스키너이다. 그는 인간의 행동이 반응 결과에 의해 수정되기도 하고 유지되기도 한다고 본다. 극단적 행동주의자였던 스키너는 행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정신적 사상은 필요하지 않다고 믿었다.
이러한 행동주의는 사고나 다른 정신적 과정을 무시하여 비판받고 있다. 그러나 인지 행동주의는 행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고와 조 전화를 결합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만약 여러분이 어느 특정 웹사이트를 자주 들어가는데, 그 이유는 여러분이 무료로 음악을 내려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행동주의자들은 여러분이 그 사이트를 자주 들어가는 것은 그때마다 음악이라는 요소로 보상을 받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인지 행동주의자들은 여기에 그 사이트에서 다운로드받는 것이 무료라는 점을 여러분이 알고 있기 때문이라고 첨부한다. 즉, 여러분의 행동에 인지적 요소를 첨부한다. 행동주의자들은 학습 조건화 그리고 벌과 보상의 적절한 사용 등에 대하여 여러 가지 기여를 하였다. 이러한 행동주의는 행동수정(beharior modification)의 근간을 이루는데, 행동수정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변화시키는 데 학습 원리를 적용한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 이해의 영역 제 3장 (0) | 2024.12.23 |
---|---|
인간 이해의 접근 방법 제 2장 (2) | 2024.12.20 |
심리학의 형태 심리학 (2) | 2024.12.18 |
심리학이란 정의와 심리의 목적 (2) | 2024.12.18 |
심리학의 첫 개요 노핸라책 (0) | 2024.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