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16

인간 이해의 영역 제 3장

정신 생물학 정신 생물학(psychobiology, 생리심리학(physiological psychology)은 심리학에서 생물학적 요인을 강조하는 분야이다. 진화심리학(evolutionary Dsychology)이라고 더 하듯이 이들은 다윈의 진화론에 근간을 둔다. 이들은 인간의 학습과 기억에 생물학적 근간을 연구한다. 예를 들어 두뇌 손상의 영향, 수면의 원인, 배고픔, 갈증, 성적 욕구의 원인, 신체에 미치는 스트레스의 영향, 행동에 미치는 (약물의 영향 등이다. 많은 심리학자가 우리 행동에 생물리학적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는 정신 생물학자들의 주장에 일리가 있음을 인정한다. 그러면서도 또 다른 대다수의 심리학자는 인간의 사회행동이 순수한 생물학적 요인보다는 문화 환경요인에 의해 더 영향을 받는다고 생..

심리학 2024.12.23

인간 이해의 접근 방법 제 2장

전 장에 이어서 강화(reinforcement)와 벌(punishment)은 행동을 수정• 변화•통제할 수 있다. 심리학자들은 행동 원리를 사용하여 인간에게 여러 행동을 가르치고 훈련할 수 있다. 행동주의는 주로 스키너(1989)의 창의적인 연구와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심리학 의 새로운 분야로 대두되었다. 스키너의 주요 개념은 관찰할 수 있는 행동 연구, 환경 강화자의 중요성, 그리고 정신 과정의 배제이다. 그러나 유라 Bandura 1989b)는 스키너의 생각에 동의하지 않고, 관찰할 수 있는 행동에 정신 과정과 인지과정을 포함하는 이론을 만들었다. 이는 사회학습접근(social learning-approact)으로, 드라마에 의하면 우리의 행동은 환경적 사상과 강화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뿐 아니라, 우..

심리학 2024.12.20

심리학의 형태 심리학

형태심리학 도로표지판을 보면 화살표 모양을 이룬 불빛이 움직이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 움직임은 착시에 불과하다. 실제로 불빛은 켜졌다 꺼졌다 할 뿐이다. 반짝이는 불빛에 대한 착시는 1912년 세 명의 과학자, 베르트하이머 호출로 그리고 코프카가 최초로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이들은 단순히 하나의 전구를 켰다가 조금 뒤에 다른 전구를 켰다. 이 두 전구는 고정되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불빛이 흐르는 것같이 보였다. 이러한 현상을 이들은 파이 현상이라 했으나 오늘날에는 외현적 움직임이라 한다. 베르트하이머와 그의 동료들은 이러한 현상은 움직임을 두 개의 고정된 불빛에 대한 단순한 감각의 결합으로 보는 구성주의로는 설명할 수 없다고 보았다. 반면에 이들은 움직이는 불빛에 지각하는 것은 전체 모양 또는 독..

심리학 2024.12.18

심리학의 인간이해의 역사

구성주의 독일 국채의 아이디어는 그의 제자 중 한 사람인키치너 Edward B. Titchener)에 의에 의해 원이라고 생각하여 분석하려고 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이들을 구성주의자, 이들의 접근을 구성주의라고 한다. 크롬(mcurlism)이라 우리의 의식적 경험을 이루는 모든 기본요소, 주로 감각 그리고 지각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즉, 구성주의에서는 개인 경험을 기본요소 또는 구조물로 분석하고자 한다.여러분은 자기 경험을 화학적 요소로 분석할 수 있는가? 구성주의자들은 의식 경험을 이루기 위하여 필요 맞추듯 수백 개의 감각을 결합하고자 한다.이들이 사용한 방법이 바로 내성법이다. 즉, 이들은 내성법을 사용하여 피험자에게 자신을 들여다보고,자기 감각과 지각을 이야기하도록 하여 의식적 • 지적 과정을 탐색..

심리학 2024.12.18

심리학이란 정의와 심리의 목적

정의 실리 학이란 정확히 무엇인가? 심리학의 어원을 보면 psyche'는 마음, 정신을 뜻하며, 1 GOS'는 지식 또는 연구를 뜻한다. 그러나 정신, 마음이란 우리가 만질 수 없는 것으로 연구하기가 어려운 부분이다. 따라서 심리학이란 일 반적으로 행동(behavior)과 정신 과정(mental process)의 과학이라고 정의한다.심리학은 과학이기 때문에 심리학자들은 지식을 잘 조직하기 위하여, 그리고 인간이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에 대한 예측과 유추를 하기 위하여 과학적 원리, 방법 및 절차를 사용한다. 행동 예측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심리학자들이 특정한 상황에서 자신들의 반응을 알고 그러한 반응을 어떻게 조정할 것인가를 배우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자신을 표현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

심리학 2024.12.18

심리학의 첫 개요 노핸라책

첫 티스토리를 만들고 쓰는 첫 글이다.왜 사람들은 저렇게 행동할까? 대부분 인간에 대하여 궁금한 점을 가지고 있다.이러한 인간의 태도가 바로 인간 자신을 이해하고자 하는 학문을 발전 시켰으며, 그것이 바로 심리학 인것 같다.심리학이란 인간애 대한 노핸라책 지식을 축적하여 형성된 학문이다.인간애 대한 지식은 끊임없이 새롭게 하나하나 밝혀지고 있다. 이 와 병행하며 심리학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바로 이 점이 심리학을 흥미롭고 놀랍고 노핸라책 도전해 볼 만한 학문으로 여겨지게 하는 것이다.

심리학 2024.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