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30 2

청소년기에서 노년기까지

인지발달 (2) 피아제는 지적 성장이 동화와 조절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동화 (asimilaton)란 새로운 상황에 이미 가지고 있는 지적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동이 플라스틱으로 된 망치로 무엇인가를 두드리는 것을 좋아하였는데, 어느 날 그 망치를 찾을 수 없었다. 그래서 그 아동은 주변에 있는 플라스틱으로 된 드라이버로 두드리는 놀이를 했는데 이것이 바로 동화한 것이다. 조절(accommodation)이란 새로운 상황에 대처하기 위하여서 가지고 있는 아이디어를 수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으로 종종 동전을 받던 아동은 1,000원짜리 지폐보다 동전을 더 가치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물건을 사기 시작하면서 동전보다 1,000원짜리 지폐가 더 값이 있는 것으로 생각을 바꾼다..

심리학 2024.12.30

아동기의 사회, 정서발달 2번째

(3) 부모의 영향 (2) 이들은 자녀에게는 권한을 별로 주지 않으면서 부모처럼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자녀는 질문을 할 수 없으며, 부모가 옮거나 그르다고 하는 것을 받아들여야 한다. 이러한 부모의 자녀는 복종적• 자아 통제적이다. 또한 이들은 정서적으로 위축되고 호기심이 적다. 허용적인 부모(permissive parents)는 자녀를 지도하지 않으면서 많은 자유를 주지만, 자녀에게 자신의 행위에 대한 책임을 지도록 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자녀는 책임은 별로 없으나 성인과 같은 권한을 갖는다. 규율은 강조되지 않으며, 자녀가 원하는 대로 하게 한다. 이러한 부모의 자녀는 의존적이고, 미성숙하며, 목표가 없다. 권위적 부모는 사랑과 애정을 가지고 견고하면서 일관성 있게 지도한다. 이들은 자신의 권..

심리학 2024.12.30